고재종의 ‘나무 속엔 물관이 있다’ 분석 해설 정리 및 관련 기출문제

고재종의 시 '나무 속엔 물관이 있다'는 겨울 감나무를 관찰하며 깨달은 생명의 이치를 다루고 있다. 감나무 가지들이 바람에 흔들리면서도 서로를 방해하지 않고, 자비로운 대지의 힘을 통해 생명을 유지하는 모습에서 사람들은 주의 깊게 삶을 성찰하기도 한다. 이러한 자연의 현상은 인간에게 깊은 감동과 생명의 원리를 일깨워 준다.

2025학년도 수능특강 작품 분석 목차 보러가기(클릭)

고재종의 나무 속엔 물관이 있다

01 고재종의 ‘나무 속엔 물관이 있다’
– 본문읽기

잦은 바람 속의 겨울 감나무를 보면, 그 가지들이 가는 것이나 굵은 것이나 아예 실가지거나 우듬지*거나, 모두 다 서로를 훼방 놓는 법이 없이 제 숨결 닿는 만큼의 찰랑한 허공을 끌어안고, 바르르 떨거나 사운거리거나 건들대거나 휙휙 후리거나, 제 깜냥껏 한세상을 흔들거린다.

그 모든 것이 웬만해선 흔들림이 없는 한 집의
주춧기둥 같은 둥치에서 뻗어 나간 게 새삼 신기한 일.

더더욱 그 실가지 하나에 앉은 조막만한 새의 무게가 둥치를 타고 내려가, 칠흑 땅속의 그중 깊이 뻗은 실뿌리의 흙샅에까지 미쳐, 그 무게를 견딜 힘을 다시 우듬지에까지 올려 보내는 땅심의 배려로, 산 가지는 어느 것 하나라도 어떤 댓바람에도 꺾이지 않는 당참을 보여 주는가.

아, 우린 너무 감동을 모르고 살아왔느니.

* 우듬지: 나무의 꼭대기 줄기.

고재종의 <나무 속엔 물관이 있다>

02 고재종의 ‘나무 속엔 물관이 있다’
– EBS의 시선 (해설)

이 시는 겨울 감나무를 관찰하고 깨달은 생명의 이치를 노래하는 작품이다. 1연에서는 겨울 감나무 가지를 보고 서로 다치지 않게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을 통해 자기 분수만큼 살아가는 모습에 주목하고 있다. 2연에서는 한 둥치에서 뻗어 나간 여러 형태의 가지들의 모습을 강조하고 있으며, 3연에서는 땅속 깊이 닿아서 물을 빨아올려 꼭대기 끝까지 물을 공급하는 둥치 밑뿌리의 모습에 주목하고 있다. 겨울나무가 보여 주는 생명력을 발견한 화자는 4연에서 감동을 느낌과 동시에 생명의 원리에 주목하지 않는 인간의 삶에 대한 안타까움을 드러내고 있다.

• 1연: 자기 분수에 맞게 살아가는 감나무의 가지
• 2연: 하나의 둥치에서 뻗어 나온 감나무의 가지
• 3연: 어떤 댓바람에도 꺾이지 않는 당참의 근원이 되는 힘
• 4연: 인간의 삶에 대한 성찰 

  • 주제 : 겨울 감나무를 통한 인간 삶의 성찰
  • 1연에서 연결 어미 ‘-이나’, ‘-거나’의 반복을 통해 운율감을 형성하고 있다.
  • 바람 속에 흔들리는 감나무 가지들을 보며 훼방 놓는 법이 없이 허공을 끌어안고 있다고 한 부분에서 의인화의 기법을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바르르’, ‘휙휙’ 등에서 음성 상징어를 활용하여 대상의 모습을 역동적으로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겨울 감나무’에서 겨울의 계절감이 드러나 있다.
  • 4연에서 화자는 겨울 감나무의 흔들리는 가지를 보며 나뭇가지들이 서로를 훼방하지 않고 흔들리고 있으며, 나뭇가지에 앉은 새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힘이 나무의 둥치를 타고 나온다는 깨달음을 얻고 있다. 그리고 이를 ‘우린 너무 감동을 모르고 살아왔느니’라고 말하여 인간 보편의 삶에 대한 성찰로 확장하고 있다.
  • ‘찰랑한 허공’은 감나무의 가지들이 욕심내지 않고 다른 가지들과 서로 공존하며 공유하는 공간이다.
  • ‘칠흑 땅속’은 감나무의 실가지가 자신에게 생명을 기대고 있는 존재의 무게를 견디게 하는 힘을 얻는 공간이다.
  • 이 작품은 겨울바람 속에서 흔들리는 감나무에 주목하여 중심을 잡으며 생명을 지탱할 수 있는 힘을 가진 존재를 통해 생명의 이치에 대해 얻은 깨달음을 전달하고 있다.
  • ‘조막만한 새의 무게’는 감나무의 실가지가 ‘어떤 댓바람에도 꺾이지 않는 당참’이 있는 힘을 가졌음을 보여 주는 존재로 볼 수 있겠군.
  • 흔들림이 없는 ‘주춧기둥 같은 둥치’는 외부의 상황 변화에 동요됨이 없이 생명을 지탱하는 여유를 가진 존재로 볼 수 있겠군.
  • ‘잦은 바람’은 감나무 가지가 흔들리는 원인이 된다는 점에서 화자가 겨울 감나무의 모습을 주목하여 관찰하는 계기가 된다고 볼 수 있겠군.
  • ‘제 깜냥껏 한세상을 흔들거’리는 모습은 저마다 가치 있는 존재로 살아가는 모습을 시각화한 것으로 볼 수 있겠군.

03 고재종의 ‘나무 속엔 물관이 있다’
– THE-깊은독해 (본문 분석)

잦은 바람 속의 겨울 감나무를 보면,
그 가지들이 가는 것이나 굵은 것이나 아예 실가지거나 우듬지거나, 모두 다 서로를 훼방 놓는 법이 없이 제 숨결 닿는 만큼의 찰랑한 허공을 끌어안고, 바르르 떨거나 사운거리거나 건들대거나 휙휙 후리거나, 제 깜냥껏 한세상을 흔들거린다.

▶1연 : 자신의 방식대로 흔들거리는 감나무 가지

그 모든 것이 웬만해선 흔들림이 없는 한 집의 
주춧기둥 같은 둥치에서 뻗어 나간 게 새삼 신기한 일.

▶2연 : 하나의 둥치에서 뻗어나간 감나무 가지들의 신기함 

더더욱 그 실가지 하나에 앉은 조막만한 새의 무게가 둥치를 타고 내려가, 칠흑 땅속의 그중 깊이 뻗은 실뿌리의 흙살에까지 미쳐, 그 무게를 견딜 힘을 다시 우듬지에까지 올려 보내는 땅심의 배려로, 산 가지는 어느 것 하나라도 어떤 댓바람에도 꺾이지 않는 당참을 보여 주는가.

▶3연 : 어떤 댓바람에도 꺾이지 않는 당참의 근원 

아, 우린 너무 감동을 모르고 살아왔느니.

▶4연 : 인간의 삶에 대한 성찰

04 고재종의 ‘나무 속엔 물관이 있다’
– 복습 및 관련 기출문제 풀이

*다운로드 가능
하단 첨부파일을 확인하세요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