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의 ‘초토의 시8’ 분석 해설 정리 및 관련 기출문제

01 구상의 ‘초토의 시8 – 적군 묘지 앞에서’
– 본문읽기

오호, 여기 줄지어 누웠는 넋들은
눈도 감지 못하였겠구나.

어제까지 너희의 목숨을 겨눠
방아쇠를 당기던 우리의 그 손으로
썩어 문드러진 살덩이와 뼈를 추려
그래도 양지바른 두메를 골라
고이 파묻어 떼마저 입혔거니
죽음은 이렇듯 미움보다도 사랑보다도
더 너그러운 것이로다.

이곳서 나와 너희의 넋들이
돌아가야 할 고향 땅은 삼십(三十) 리면 / 가로막히고

무인공산의 적막만이
천만근 나의 가슴을 억누르는데

살아서는 너희가 나와
미움으로 맺혔건만
이제는 오히려 너희의
풀지 못한 원한이 나의
바램 속에 깃들어 있도다.

손에 닿을 듯한 봄 하늘에
구름은 무심히도 / 북(北)으로 흘러가고

어디서 울려오는 포성 몇 발
나는 그만 이 은원(恩怨)의 무덤 앞에
목 놓아 버린다.

구상의 <초토의 시8 – 적균 묘지 앞에서>

02 구상의 ‘초토의 시8 – 적군 묘지 앞에서’
– EBS의 시선 (해설)

이 작품은 1956년에 발간된 시집 『초토의 시』에 실린 15편의 연작시 중 여덟 번째 시로, 시인이 6·25 전쟁의 휴전 직후에 친구가 지휘하는 포병 부대를 방문했다가 목격한 장면에서 얻은 감동을 시로 창작한 것이다. 이 작품은 6·25 전쟁으로 황폐해진 분단의 현실을 초토로 표현하면서 전쟁의 상처를 인간성의 회복으로 치유하려는 의지를 드러내는 시이다. 

전사자의 묘지는 전쟁의 참상을 환기하는 곳이다. 화자는 이 장소에서 적개심과 미움이 어린, 적군과 아군이라는 이분법을 넘어 적군 전사자의 원한을 자신의 바람에 담고 그들의 넋을 추모한다. 이러한 모습에서 연민과 사랑으로 전쟁의 비극을 넘어서려는 화자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 1연: 눈을 감지 못한 적군 묘지의 넋들
• 2연: 죽음 앞에서 숙연해지는 적군의 묘지
• 3연: 분단으로 인해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나와 너희’
• 4연: 분단된 현실에 대한 답답함
• 5연: 적군의 풀지 못한 원한에 대한 연민과 이해
• 6연: 분단의 아픔과 대비되는 자연의 풍경
• 7연: 추모와 애도를 통한 현실 극복의 의지

  • 주제 : 적군 묘지 앞에서 느낀 전쟁의 아픔과 치유의 의지
  • ‘오호’라는 감탄사를 사용하여 ‘줄지어 누웠는 넋들’을 향한 화자의 슬픔을 부각한다.
  • ‘너희’라는 이인칭 대명사를 활용하여 그들에게 화자의 마음을 직접적으로 토로하는 듯한 어조를 취한다.
  • ‘삼십 리’는 화자와 적군이 돌아가고 싶으나 그럴 수 없게 하는 휴전선과의 거리를 가리킨다.
  • 은혜와 원한이 결합된 ‘은원(恩怨)’이라는 시어를 활용하여 무덤에 묻힌 적군에 대한 화자의 복합적인 감정을 드러내고 있다.
  • 2연에서 상대의 목숨을 빼앗은 ‘방아쇠를 당기’는 행위와 시신을 추려 수습하는 행위를 순차적으로 제시하여 대상과의 적대적 관계를 넘어서려는 화자의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 6연의 ‘구름’은 아무 장애 없이 북쪽으로 갈 수 있지만 3연의 ‘나’는 그럴 수 없다는 점에서 서로 처지의 대비를 이루어 6연의 ‘나’가 처한 현실의 문제가 부각된다.
  • 6연의 ‘구름’이 북으로 간다는 점에 주목하면, 3연의 ‘나’의 염원을 대변하고 미래를 암시한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 이 작품은 전사한 적군의 마음을 헤아리고 연민하며 그들을 애도하는 모습을 통해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려는 소망을 보인다.
  • ‘적군 묘지’를 공간적 배경으로 설정하여 전쟁의 참상을 환기하고 있다.
  • ‘무인공산의 적막’을 심리적 무게감으로 전환하는 표현을 통해 분단에 대한 답답한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 ‘오호, 여기 줄지어 누웠는 넋들은 / 눈도 감지 못하였겠구나’는 죽은 적군의 마음을 헤아리는 모습으로,  그들의 원통함을 이해하려는 화자의 태도가 드러난다.
  • ‘그래도 양지바른 두메를 골라 / 고이 파묻어 떼마저 입혔거니’는 적군의 무덤을 경건하게 조성하는 행위로, 무덤의 주인을 전쟁의 희생자로 인식하고 애도하는 화자의 마음이 드러난다.
  • ‘어디서 울려오는 포성 몇 발‘은 남북의 대립이 지속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03 구상의 ‘초토의 시8 – 적군 묘지 앞에서’
– THE-깊은독해 (본문 분석)

오호, 여기 줄지어 누웠는 넋들은
눈도 감지 못하였겠고나.

▶1연 : 적군 병사의 죽음을 애도함. 

어제까지 너희의 목숨을 겨눠
방아쇠를 당기던 우리의 그 손으로
썩어 문드러진 살덩이와 뼈를 추려
그래도 양지바른 드메를 골라
고이 파묻어 떼마저 입혔거니
죽음은 이렇듯 미움보다도 사랑보다도 
더 너그러운 것이다.

▶2연 : 적군 병사의 죽음의 의미

이 곳서 나와 너희의 넋들이
돌아가야 할 고향 땅은 삼십 리면 / 가로막히고

▶3연 : 분단으로 인해 고향에 돌아갈 수 없는 상황

무주공산(無主空山)의 적막만이
천만근 나의 가슴을 억누르는데

▶4연 : 분단 현실로 인한 중압감 

살아서는 너희가 나와 
미움으로 맺혔건만
이제는 오히려 너희의 
풀지 못한 원한이 나의
바램 속에 깃들어 있도다.

▶5연 : 적군의 원한을 풀고자 하는 ‘나’의 바람 

손에 닿을 듯한 봄 하늘에
구름은 무심히도
북(北)으로 흘러가고

▶6연 : 평화로운 자연 경관

어디서 울려 오는 포성 몇 발
나는 그만 이 은원(恩怨)의 무덤 앞에
목 놓아 버린다.

▶7연: 분단 현실에 대한 통한

04 구상의 ‘초토의 시8 – 적군 묘지 앞에서’
– 복습 및 관련 기출문제 풀이

*다운로드 가능
하단의 첨부파일을 확인하세요
.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