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규의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분석 해설 정리 및 관련 기출문제

김광규의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01 김광규의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 본문읽기

4·19가 나던 해 세밑 / 우리는 오후 다섯 시에 만나
반갑게 악수를 나누고 / 불도 없이 차가운 방에 앉아
하얀 입김 뿜으며 / 열띤 토론을 벌였다
어리석게도 우리는 무엇인가를
정치와는 전혀 관계없는 무엇인가를
위해서 살리라 믿었던 것이다 / 결론 없는 모임을 끝낸 밤
혜화동 로터리에서 대포를 마시며
사랑과 아르바이트와 병역 문제 때문에
우리는 때 묻지 않은 고민을 했고
아무도 귀 기울이지 않는 노래를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노래를 / 저마다 목청껏 불렀다
돈을 받지 않고 부르는 노래는 / 겨울밤 하늘로 올라가
별똥별이 되어 떨어졌다 / 그로부터 18년 오랜만에
우리는 모두 무엇인가 되어 / 혁명이 두려운 기성세대가 되어
넥타이를 매고 다시 모였다 / 회비를 만 원씩 걷고
처자식들의 안부를 나누고 / 월급이 얼마인가 서로 물었다
치솟는 물가를 걱정하며 / 즐겁게 세상을 개탄하고
익숙하게 목소리를 낮추어 / 떠도는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모두가 살기 위해 살고 있었다
아무도 이젠 노래를 부르지 않았다
적잖은 술과 비싼 안주를 남긴 채
우리는 달라진 전화번호를 적고 헤어졌다
몇이서는 포커를 하러 갔고 / 몇이서는 춤을 추러 갔고
몇이서는 허전하게 동숭동 길을 걸었다
돌돌 말은 달력을 소중하게 옆에 끼고
오랜 방황 끝에 되돌아온 곳
우리의 옛사랑이 피 흘린 곳에
낯선 건물들 수상하게 들어섰고
플라타너스 가로수들은 여전히 제자리에 서서
아직도 남아 있는 몇 개의 마른 잎 흔들며
우리의 고개를 떨구게 했다
부끄럽지 않은가 / 부끄럽지 않은가
바람의 속삭임 귓전으로 흘리며
우리는 짐짓 중년기의 건강을 이야기했고
또 한 발짝 깊숙이 늪으로 발을 옮겼다

김광규의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02 김광규의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 EBS의 시선 (해설)

1979년에 발간한 작가의 첫 시집 『우리를 적시는 마지막 꿈』에 실린 시로, 기성세대가 된 중년의 화자가 18년 전의 순수했던 청년 시절을 회상하고 현재의 소시민적 삶을 반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젊은 시절의 화자와 친구들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꿈을 품고 노래를 목청껏 불렀지만, 18년이 흐른 후의 그들은 세속적 가치를 좇으며 현실 순응적인 소시민의 삶을 영위하고 있다. 4·19가 불러일으킨 이상과 열정, 순수함을 의미하는 ‘옛사랑’은 이제 ‘희미한 그림자’로만 남아 화자를 부끄럽게 만들고 있다.

• 1~19행: 4·19를 겪은 젊은 시절의 순수한 이상과 열정
• 20~37행: 이상과 열정을 잃고 현실에 순응하며 사는
             중년의 세속적인 모습
• 38~49행: 변함없는 플라타너스 가로수를 바라보며
             느끼는 소시민의 삶에 대한 부끄러움 

  • 주제 : 젊은 날의 순수와 열정을 잃고 소시민의 삶을 영위하는 4·19 세대의 자기 성찰
  • 화자는 ‘부끄럽지 않은가’와 같은 의문형 표현을 통해 현재 삶에 대한 성찰적 태도를 부각하고 있다.
  • ‘과거–현재’의 순으로 시상을 전개하며 화자의 변화를 드러내고 있다.
  • ‘차가운 방’이라는 공간을 통해 젊은 시절의 열악하고 가난했던 처지를 암시하고 있다.
  •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노래’라는 소재를 통해 젊은 시절의 순수한 열정을 부각하고 있다.
  • ‘적잖은 술과 비싼 안주’라는 소재를 통해 경제적으로 안정된 현재의 삶을 드러내고 있다.
  • ‘늪’이라는 공간을 통해 현실에 순응하는 삶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넥타이’는 혁명이 두려운 기성세대가 된 ‘우리’가 착용한 것으로, 이 소재는 ‘우리’가 경제적 안정을 위해 직장인이 되면서 과거의 이상이 아닌 현재의 생활에 구속된 현실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이 작품은 우리 역사의 중요 사건을 배경으로 삼아 경제적 안정에 매몰된 소시민의 삶을 재현한다. 특히 서로 다른 삶의 모습을 대조적으로 제시하면서 신념의 지향과 생활의 순응 사이에 놓인 소시민의 성찰적 내면을 그린다. 역사적 사건이 일어난 과거와 오랜 시간이 흐른 현재를 대조하면서 과거의 이상과 열정을 잃은 현재의 소시민과 속물화된 사회를 성찰한다.
  • ‘4·19’라는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소시민의 문제를 제기한다.
  • ‘때 묻지 않은 고민’을 했던 과거의 ‘우리’와 ‘치솟는 물가를 걱정’하는 현재의 ‘우리’가 대조되고 있다.
  • 이 작품에서 ‘부끄러움’은 ‘우리’가 현재의 소시민적 생활을 반성하며 느끼는 감정으로 볼 수 있다.

03 김광규의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 THE-깊은독해 (본문 분석)

4·19가 나던 해 세밑
우리는 오후 다섯 시에 만나
반갑게 악수를 나누고
불도 없이 차가운 방에 앉아 
하얀 입김 뿜으며
열띤 토론을 벌였다 
어리석게도 우리는 무엇인가를 
정치와는 전혀 관계없는 무엇인가를
위해서 살리라 믿었던 것이다
결론 없는 모임을 끝낸 밤
혜화동 로터리에서 대포를 마시며
사랑과 아르바이트와 병역 문제 때문에
우리는 때 묻지 않은 고민을 했고
아무도 귀 기울이지 않는 노래를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노래를
저마다 목청껏 불렀다 
돈을 받지 않고 부르는 노래는
겨울밤 하늘로 올라가
별똥별이 되어 떨어졌다

▶1-19행 : [과거] 젊은 시절의 순수한 이상과 열정

그로부터 18년 오랜만에
우리는 모두 무엇인가 되어 
혁명이 두려운 기성세대가 되어
넥타이를 매고 다시 모였다
회비를 만 원씩 걷고
처자식들의 안부를 나누고
월급이 얼마인가 서로 물었다
치솟는 물가를 걱정하며
즐겁게 세상을 개탄하고
익숙하게 목소리를 낮추어 / 떠도는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모두가 살기 위해 살고 있었다 
아무도 이젠 노래를 부르지 않았다
적잖은 술과 비싼 안주를 남긴 채
우리는 달라진 전화번호를 적고 헤어졌다
몇이서는 포커를 하러 갔고
몇이서는 춤을 추러 갔고 
몇이서는 허전하게 동숭동 길을 걸었다 

▶20-37행 : [현재] 이상과 열정을 잃고 현실에

속박된 삶을 살아가는 중년의 모습
돌돌 말은 달력을 소중하게 옆에 끼고
오랜 방황 끝에 되돌아온 곳
우리의 옛사랑이 피 흘린 곳에
낯선 건물들 수상하게 들어섰고
플라타너스 가로수들은 여전히 제자리에 서서
아직도 남아 있는 몇 개의 마른 잎 흔들며 
우리의 고개를 떨구게 했다
부끄럽지 않은가 / 부끄럽지 않은가
바람의 속삭임 귓전으로 흘리며
우리는 짐짓 중년기의 건강을 이야기했고
또 한 발짝 깊숙이 늪으로 발을 옮겼다

▶38-49행 : 변함없는 플라타너스 가로수를
바라보며 느끼는 소시민의 삶에 대한 부끄러움

04 김광규의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 복습 및 관련 기출문제 풀이

*다운로드 가능
하단 첨부파일을 확인하세요.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