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수의 ‘꽃을 위한 서시’ 분석 해설 정리 및 관련 기출문제

01 김춘수의 ‘꽃을 위한 서시’
– 본문읽기

나는 시방 위험한 짐승이다.
나의 손이 닿으면 너는
미지의 까마득한 어둠이 된다.

존재의 흔들리는 가지 끝에서
너는 이름도 없이 피었다 진다.
눈시울에 젖어드는 이 무명의 어둠에
추억의 한 접시 불을 밝히고
나는 한밤내 운다.

나의 울음은 차츰 아닌 밤 돌개바람이 되어
탑을 흔들다가
돌에까지 스미면 금(金)이 될 것이다.

……얼굴을 가리운 나의 신부여,

김춘수의 <꽃을 위한 서시>

02 김춘수의 ‘꽃을 위한 서시’
– EBS의 시선 (해설)

이 작품은 꽃을 통하여 존재의 본질을 탐색한 시이다. 여기에서 ‘꽃’이란 화자가 그 본질을 탐색하고자 하지만 쉽게 그 본질에 가닿을 수 없는 존재를 의미한다. 이것은 마지막 행의 ‘얼굴을 가리운 나의 신부’라는 이미지로 집약된다. 화자는 ‘꽃’의 내면적 의미의 실상을 파악해 보려고 ‘추억의 한 접시 불을 밝히고’, ‘한밤내’ 치열한 노력을 계속한다. 하지만 ‘나의 손이 닿으면 너는 / 미지의 까마득한 어둠이 된다.’에서처럼 이러한 노력은 끝내 실패로 돌아가게 된다. 어떤 존재의 진정한 의미를 파악하기란 이처럼 매우 어려운 일인 것이다. 하지만 ‘미지의 까마득한 어둠’은 존재의 세계로 진입할 수 있는 역설적인 통로가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함께 제시했다고도 볼 수 있다.

• 1연: 존재의 본질 탐색에서 마주하는 한계
• 2연: 존재의 본질을 탐색하기 위한 노력과 고통
• 3연: 존재의 본질 탐색을 위한 간절한 염원과 기대
• 4연: 미지의 존재에 대한 설렘

  • 주제 : 존재의 본질 탐색에 대한 염원
  • 화자가 본질을 규명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의인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된다’, ‘피었다 진다’, ‘운다’와 같은 현재형 표현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화자의 긴장감이 드러나고 있다. 
  • ‘무명의 어둠’은 화자가 존재의 본질을 밝히지 못한 상태를 표현한 것으로, 화자가 처해 있는 부정적 상황을 나타낸다.
  • 이 작품은 지향하는 대상에 도달하고자 하는 화자의 마음과 이를 위한 화자의 노력이 드러나 있는 작품이다. 특히 화자는 실현될 것을 장담할 수 없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의지를 보이고 노력을 기울이지만 그 과정은 매우 어렵고 고통스럽다. 한편 이 작품에서는 이러한 화자의 지향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드러나 있다. 
  • ‘나의 울음’이 ‘돌개바람이 되어’ ‘금이 될 것이’라는 표현에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화자의 기대가 드러나 있다고 볼 수 있다.
  • ‘눈시울에 젖어드는’은 대상에 도달하는 과정의 고통을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 화자가 ‘한밤내’ 우는 행위는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에서 기울인 화자의 노력이자 고통이라고 볼 수 있다.
  • ‘얼굴을 가리운 나의 신부여’는 화자가 그 본질을 규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대상이자, 아직까지 그 본질을 규명하지 못하고 있는 대상을 의인화하여 나타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03 김춘수의 ‘꽃을 위한 서시’
– THE-깊은독해 (본문 분석)

나는 시방 위험한 짐승이다.
나의 손이 닿으면 너는
미지의 까마득한 어둠이 된다.

▶1연 : 존재의 본질을 인식하지 못한 상태  

존재의 흔들리는 가지 끝에서
너는 이름도 없이 피었다 진다.

▶2-1연 : 본질을 인식하지 못한 삶  

눈시울에 젖어드는 이 무명의 어둠에
추억의 한 접시 불을 밝히고
나는 한밤내 운다.

▶2-2연 : 본질 규명을 위한 노력 

나의 울음은 차츰 아닌 밤 돌개바람이 되어
탑을 흔들다가
돌에까지 스미면 금이 될 것이다.

▶3연 : 본질 규명을 위한 노력 

……얼굴을 가린 나의 신부여.

▶4연 : 본질 규명에 실패한 안타까움 

04 김춘수의 ‘꽃을 위한 서시’
– 복습 및 관련 기출문제 풀이

*다운로드 가능
하단 첨부파일을 확인하세요.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