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필수 고전시가] ‘가시리’ 해석 및 작품 분석 해설 정리

가시리

01 작자 미상의 ‘가시리’
– 스스로 해보는 작품 독해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리고 가시리잇고 나
위 증즐가 대평셩(大平盛代)

날러는 엇디 살라 고
리고 가시리잇고 나
위 증즐가 대평셩(大平盛代)

잡와 두어리마
선면 아니 올셰라
위 증즐가 대평셩(大平盛代)

셜온 님 보내노니 나
가시  도셔 오쇼셔 나
위 증즐가 대평셩(大平盛代)

02 작자 미상의 ‘가시리’
– 작품 자세히 보기

   이 노래는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는 화자의 슬프고도 애절한 마음과 애이불비(哀而不悲;슬프지만 겉으로 슬픔을 나타내지 아니함.)의 태도가 잘 형상화되어 있는 작품으로 우리 민족의 보편적 정서인 이별의 정한을 계승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1연에서는 임에게 진정 자신을 떠날 것인지를 애달프게 묻고 있으며, 2연에서는 질문을 되풀이하여 고조된 슬픔을 절실하게 드러내고 있다. 3연에서는 임을 붙잡지 못하는 이유를 제시하며 수동적이고 전통적인 여인상을 드러내고, 4연에서는 임이 돌아오기를 바라는 간절한 소망을 제시하며 시상을 마무리하고 있다.

03 작자 미상의 ‘가시리’
– THE-깊은독해 (본문 분석)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
가시렵니까, 가시렵니까
  → 여기서 ‘가시리’는 ‘가시리잇고’의 생략형으로, 음수율을 맞추기 위해 음절의 수를 조절한 표현이다. ‘가시리잇고’라는 질문은 대답을 들으려고 한 말이라기보다는, 제발 떠나지 말라는 애원이 담긴 말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뒤에 있는 ’나난‘은 악곡상의 호흡을 맞추기 위해 삽입된 뜻 없는 조음구이자 흥을 돋우기 위한 여음에 해당한다. 여음이나 여음구는 시 작품의 앞뒤 또는 가운데에 감흥을 불러일으키거나 시의 리듬을 살리기 위하여 뜻 없이 넣는 말을 말한다.

리고 가시리잇고 나
(나를) 버리고 가시렵니까?
  → 1행과 2행은 여음구를 제외하면 a-a-b-a 구조를 이루며 운율을 형성하고 있다.

위 증즐가 대평셩(大平盛代)
내용상 의미가 없는 여음구, 후렴구
  → 해당 구절은 음률을 맞추기 위해 추가된 것으로 보이는 여음구이자 후렴구에 해당한다. 이러한 후렴구는 각 연을 구분하고 운율감, 통일성, 안정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증즐가’는 악기 소리를 흉내낸 의성어로 보기도 한다. ‘대평성대’는 나라가 태평한 시대를 뜻하므로, 화자가 이별하는 시적 상황과는 이질적인 말이다. 이는 평민 문학에 귀족이 참여한 흔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민중들이 부르던 노래가 후대에 궁중 음악으로 수용 및 편입되면서 첨가된 것으로 보인다.

▶1연(기) : 애원

날러는 엇디 살라 고
나더러는 어찌 살라 하고
  → 화자 ‘나’가 제시되었다. 화자의 원망과 절망감이 나타난다. 또한, 전통적인 여인의 수동적인 태도도 나타난다.

리고 가시리잇고 나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셩(大平盛代)

▶2연(승) : 하소연의 고

잡와 두어리마
붙잡아 두고 싶지만

선면 아니 올셰라
귀찮게 하면(서운하면) 오지 않을까 두려워
  → 해당 구절에서는 화자가 임을 떠나보내는 이유가 나타나 있다. 임이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염려가 있는 것이다. 이때 ‘선하면’은 주로 ‘서운하면’, 혹은 ‘귀찮아서 마음이 토라지면’ 등으로 해석된다. 이외에도 ‘선뜻’, 혹은 ‘두렵고 겁나면’ 등의 의미로 해석하는 견해가 존재하기는 한다.

위 증즐가 대평셩(大平盛代)

▶3연(전) : 어쩔 수 없이 보내는 마음(시상 전환)

셜온 님 보내노니 나
서러운 임을 보내 드리오니
  → 이때 ‘셜온’은 ‘서러운’으로 해석된다. 화자의 정서거 직접 드러난 것이다. 이 말의 주체가 표현상으로는 ‘님’으로 되어 있지만, 이미상으로 화자가 주체로 볼 수 있다. 즉, 주체를 임으로 생각하면, 이별을 서러워하는 임을 표현한 구절이 되고, 주체를 화자로 생각하면 화자를 서럽게 하는 임을 표현한 구절이 된다.

가시  도셔 오쇼셔 나
가시자마자(가시는 듯이) 곧 다시 오소서.
  → 임과의 재회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아 화자의 소망을 직접 표출하고 있다. 간절한 기다림의 정서가 드러나는 것이다.

위 증즐가 대평셩(大平盛代)

▶4연(결) : 간절한 기원

04 꼭 기억해야 할 핵심 정리

– 갈래 : 고려 가요
– 성격 : 서정적, 애상적, 민요적
– 주제 : 이별의 정한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