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필수 고전시가] ‘서경별곡’ 해석 및 작품 분석 해설 정리

서경별곡

01 작자 미상의 ‘서경별곡’
– 스스로 해보는 작품 독해

서경(西京)이 아즐가 서경(西京)이 셔울히 마르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닷곤 아즐가 닷곤 쇼셩경 고마른
여므론 아즐가 여므론 질삼뵈 리시고
괴시란 아즐가 괴시란 우러곰 좃니노이다.

구스리 아즐가 구스리 바회예 디신
긴히 아즐가 긴힛 그츠리잇가 나
즈믄를 아즐가 즈믄 를 외오곰 녀신
신(信)잇 아즐가 신(信)잇 그츠리잇가 나

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大同江) 너븐디 몰라셔
내여 아즐가 내여 노다 샤공아
배를 내어 놓았느냐? 사공아.
네 가시 아즐가 네 가시 럼난디 몰라셔
녈예 아즐가 녈예 연즌다 샤공아
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大同江) 건넌편 고즐여
타들면 아즐가 타들면 것고리이다 나

02 작자 미상의 ‘서경별곡’
– 작품 자세히 보기

   이 작품은 애절한 사랑과 이별의 정한(情恨)을 노래하고 있는 고려 가요이다. 이러한 특징은 우리 문학의 전통으로, 고려 가요 ‘가시리’와 함께 김소월의 ‘진달래꽃’으로 이어지는 계보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화자는 불안과 질투의 감정을 숨기지 않고 드러내는 등 사랑을 쟁취하려는 적극적인 삶의 태도와 현실적 감정을 표현했다는 점에서 다른 작품과 다른 독특한 면을 보이기도 한다. 이 노래는 이별을 슬퍼하며 임의 뒤를 따르겠다는 애절한 연모(戀慕)의 정을 노래한 1연, 사랑의 정(情)은 끊어지지 않으리라는 다짐을 노래한 2연, 임을 배에 싣고 떠나는 사공을 원망하는 내용이 담긴 3연으로 구성되어 있고, 2연은 고려 가요 ‘정석가’의 6연과 일치한다. 이는 구전되는 과정에서 덧붙여진 것이 그대로 채록된 것으로 보인다.

03 작자 미상의 ‘서경별곡’
– THE-깊은독해 (본문 분석)

서경(西京)이 아즐가 서경(西京)이 셔울히 마르는
서경이 서울이지마는
  → 서경은 고려시대에, 사경 중 지금의 평양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지명을 드러냄으로써 향토적 정서를 유발한다. 이때, ‘아즐가’는 가락을 맞추기 위한 조흥구이자, 뜻이 없는 여음에 해당한다. ‘서경이 아즐가’는 운율감을 살리기 위한 반복이며, 실제 의미는 뒷부분의 ‘서경이‘에 나타나 있다. 즉, 없어도 되는 말인 것이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흥을 돋우기 위한 조흥구, 뜻이 없는 여음구, 후렴구 (이하 후렴구 생략)
  → 악기 소리를 흉내 낸 의성어이다. 작품의 내용과는 상반되게 경쾌한 느낌을 준다. 이는 궁중 음악으로 사용하기 위해 후대에 후렴구를 추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닷곤 아즐가 닷곤 쇼셩경 고마른
중수(重修)한 곳인 소성경(小城京)을 사랑합니다만,
  → ‘소성경’은 앞서 나온 ‘서경’, 지금의 평양을 뜻하는 말로, 화자의 삶의 터전이며, 임과 함께 지내온 장소에 해당한다. 서경에 대한 화자의 애정이 드러난다. 이때 ’닦은 곳‘은 살기 좋게 터를 닦은 곳이라는 의미로, 중수(새로 고친) 곳을 뜻한다.

여므론 아즐가 여므론 질삼뵈 리시고
임과 이별하기보다는 차라리 길쌈하던 베를 버리고서라도
  →여인의 본분(‘길쌈’)을 포기하고서라도 사랑을 추구하겠다는 자세가 드러난다. 이별을 거부하는 적극적인 태도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또한 ‘질삼뵈‘는 길쌈하던 베, 즉 옷감을 짜던 베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화자가 여성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소성경‘과 ’질삼뵈‘는 화자에게 소중한 것이지만, 사랑을 위해서는 버릴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A도 중요하지만 그것보다는 B를 선택한다는 비교의 발상법이 드러난다. 즉, ’소성경‘과 ’질삼베‘가 중요하지 않다는 뜻이 아니다.

괴시란 아즐가 괴시란 우러곰 좃니노이다.
저를 사랑해 주신다면 울면서 따라가겠습니다.
  → 임을 따르고자 하는 의지, 임과의 사랑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가 드러난다. ‘우러곰’에서 ‘곰’은 강세의 뜻을 나타낸다.

▶1연: 이별을 거부하며 임을 따르겠다는 의지

구스리 아즐가 구스리 바회예 디신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임과 나 사이에 이별이 닥쳐온다고 하더라도)
  → ‘구슬’은 당신과 나, 혹은 임과 사랑을 비유한 말이다. ‘바위’는 장애물, 시련, 이별을 비유한 말이다. 즉, 당신과 내가 떨어지게 됐을 때를 가정하고 있는 것이다.

긴히 아즐가 긴힛 그츠리잇가 나
끈이야 끊어지겠습니까?(사랑이 끝나지 않는다.)
  → ‘끈’은 임과의 사랑과 믿음을 비유한 말이다. 우리가 떨어지더라도 임과의 사랑이 지속될 것이라는 다짐과 사랑의 불변성을 설의법을 사용하여 강조하고 있다. 해당 구절은 정석가 6연과 동일한 구절로, 구전되는 과정에서 삽입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나난‘은 뜻이 없는 여음에 해당한다.

즈믄를 아즐가 즈믄 를 외오곰 녀신
천 년을 임과 떨어져 홀로 살아간들
  → ‘천 년’이라는 시어를 통해 과장법을 사용하고 있다.

신(信)잇 아즐가 신(信)잇 그츠리잇가 나
임을 사랑하는 마음이야 끊어지겠습니까?
  → ‘신’은 신의, 즉 임에 대한 사랑을 뜻한다. 앞서 나온 ‘끈’과 의미상 같은 시어에 해당한다. 이별의 상황이 와도 사랑이 변치 않을 것이라는 다짐을 드러내고 있다.

▶2연: 사랑의 맹세와 다짐

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大同江) 너븐디 몰라셔
대동강이 넓은지 몰라서
  → 뒤의 내용을 읽어보면, ‘대동강’을 경계로 하여 건너편은 미지의 세계, 나의 손길이 닿을 수 없는 세계가 펼쳐진다는 점에서 ‘대동강’은 이별과 단절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서경’은 이별이 없는 사랑의 세계를 뜻한다고 볼 수 있다. 대동강이 넓다는 인식 속에는 임이 이 강을 건너게 되면, 임과의 거리감이 크게 느껴진다는 뜻이 담겨 있으며, 이러한 대동강의 넓음은 이별을 강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내여 아즐가 내여 노다 샤공아
배를 내어 놓았느냐? 사공아.
  → 뱃사공을 청자로 설정하여 말을 건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떠나는 임을 태운 사공에 대한 원망이 나타나며, 사공을 사랑의 훼방꾼으로 인식하고 있다.

네 가시 아즐가 네 가시 럼난디 몰라셔
네 아내가 바람난 줄도 모르고

녈예 아즐가 녈예 연즌다 샤공아
떠나는 배에 내 임을 태웠느냐? 사공아.
  → 떠나는 임에 대한 원망을 사공을 향해 우회적이고 간접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임을 직접적으로 원망하지는 않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엉뚱한 사람에게 화풀이한다는 점에서 해학적이라고 볼 수 있다.

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大同江) 건넌편 고즐여
(나의 임은) 대동강 건너편 꽃을

타들면 아즐가 타들면 것고리이다 나
(배를 타면 (건너편 꽃을) 꺾을 것입니다.)
  → 배를 탄다는 것은 임이 떠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임이 다른 여인과 사랑을 맺을 것이라는 불안감이 표출되고 있으며, 시기, 질투의 마음이 나타난다.

▶3연: 떠나는 임을 태운 사공에 대한 원망

04 꼭 기억해야 할 핵심 정리

– 갈래 : 고려 가요
– 성격 : 서정적, 애상적
– 주제 : 이별의 정한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