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철의 ‘청산행’ 분석 해설 정리 및 관련 기출문제

이기철의 시 '청산행'은 속세를 떠나 자연에 들어선 화자의 이야기를 다룬다. 화자는 속세를 떠난 후에도 미련을 느끼지만, 결국 자연에 동화되어 살고 싶은 소망을 드러낸다. 시에서는 화자의 내적 갈등과 자연에 대한 동경이 강조된다.

2025학년도 수능특강 작품 분석 목차 보러가기(클릭)

이기철의 청산행

01 이기철의 ‘청산행’
– 본문읽기

손 흔들고 떠나갈 미련은 없다
며칠째 청산(靑山)에 와 발을 푸니
흐리던 산(山)길이 잘 보인다.
상수리 열매를 주우며 인가(人家)를 내려다보고
쓰다 둔 편지 구절과 버린 칫솔을 생각한다.
남방(南方)으로 가다 길을 놓치고
두어 번 허우적거리는 여울물
산 아래는 때까치들이 몰려와
모든 야성(野性)을 버리고 들 가운데 순결해진다.
길을 가다가 자주 뒤를 돌아보게 하는
서른 번 다져 두고 서른 번 포기했던 관습(慣習)들
서(西)쪽 마을을 바라보면 나무들의 잔숨결처럼
가늘게 흩어지는 저녁 연기가
한 가정의 고민의 양식으로 피어오르고
생목(生木) 울타리엔 들거미줄
맨살 비비는 돌들과 함께 누워
실로 이 세상을 앓아 보지 않은 것들과 함께
잠들고 싶다.

이기철의 <청산행>

02 이기철의 ‘청산행’
– EBS의 시선 (해설)

이 작품은 속세를 떠나 ‘청산’에 들어온 화자가 점점 청산에 동화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 주고 있는 시이다. 화자는 속세를 떠나온 이후 자신이 버린 세속의 가치에 미련이 없다고 하면서도 실제로는 미련을 완전히 버리지 못하고, 속세에서의 삶의 모습을 반추하며 번잡한 심정을 느끼곤 한다. 하지만 결국 화자는 속세의 고뇌와 갈등을 떨쳐 버리고 자연에 동화되어 살고 싶다는 소망을 드러내면서 시상을 마무리하고 있다.

• 1~3행: 속세를 떠나 청산으로 옴.
• 4, 5행: 속세에 대한 미련
• 6~14행: 청산에서 내려다본 속세의 풍경과
            지난날에 대한 반추
• 15~18행: 자연과 동화되고 싶은 소망

  • 주제 : 자연에 동화되고 싶은 소망
  • 감각적 이미지(‘청산’, ‘저녁 연기’)를 활용하여 대상이 지닌 속성을 밝히고 있다.
  • ‘청산에 와 발을 푸니’는 자연 속에 들어와 있는 화자의 처지를 드러내는 비유적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 ‘청산’, ‘인가’와 같이 대조적 속성을 지닌 시어가 사용됨으로써 주제 의식의 형상화에 기여하고 있다.
  • ‘남방으로 가다 길을 놓치고’에는 화자가 자신이 있는 공간에 익숙해지지 못한 상태임을 드러내고 있다.
  • ‘서른 번 다져 두고 서른 번 포기했던 관습들’은 자연에 귀의하는 것을 주저하게 했던 것들을 의미한다.
  • ‘여울물’은 화자가 청산에서 직접 마주하며 경험한 자연물이라고 볼 수 있다.
  • 화자는 ‘청산’, 즉 자연 속에서 세상을 앓아 보지 않은 것들과 함께 살아가기를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화자는 세속이 아닌 ‘청산’에 와 머무르며 그동안 잘 보이지 않았던 ‘산길이 잘 보’이는 긍정적인 경험을 했다고 볼 수 있다.
  • 화자는 ‘청산’, 즉 자연에 머무르며 ‘이 세상을 앓아 보지 않은 것들’과 함께 잠들기를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화자는 속세에 대해 ‘미련은 없’으며 ‘청산’에 머무르고 싶다고 말하고 있지만, ‘인가를 내려다보’는 등 두고 온 세계로부터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 ‘맨살 비비는 돌들’은 세속으로부터 벗어나 자연 속에 머무르고자 하는 화자의 태도가 투영된 자연물로 볼 수 있다.
  • 화자가 ‘청산에 와 발을 푸’는 행위는 경쟁적이고 복잡한 세속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심리가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화자가 ‘쓰다 둔 편지 구절과 버린 칫솔’을 생각하는 것은 화자와 ‘우리’가 세속과의 단절에 성공하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03 이기철의 ‘청산행’
– THE-깊은독해 (본문 분석)

손 흔들고 떠나갈 미련은 없다
며칠째 청산에 와 발을 푸니
흐리던 산길이 잘 보인다.

▶1-3행 : 속세를 떠나 청산에 들어와 지냄.

상수리 열매를 주우며 인가(人家)를 내려다보고
쓰다 둔 편지 구절과 버린 칫솔을 생각한다.

▶4-5행 : 청산에서 속세에서의 일을 떠올림.

남방(南方)으로 가다 길을 놓치고
두어 번 허우적거리는 여울물 
산 아래는 때까치들이 몰려와
모든 야성(野性)을 버리고 들 가운데 순결해진다.

▶6-9행 : 청산의 정경 (또는 청산에서 바라본 속세의 정경)

길을 가다가 자주 뒤를 돌아보게 하는
서른 번 다져 두고 서른 번 포기했던 관습들

▶10-11행 : 속세에서의 일을 떠올림.

서쪽 마을을 바라보면 나무들의 잔 숨결처럼
가늘게 흩어지는 저녁 연기가 
한 가정의 고민의 양식으로 피어오르고

▶12-14행 : 청산에서 바라본 속세의 모습

생목(生木) 울타리엔 들거미줄 
맨살 비비는 돌들과 함께 누워 
실로 이 세상을 앓아 보지 않은 것들과 함께 / 잠들고 싶다.

▶15-18행 : 자연과 동화되어 살고 싶은 소망

04 이기철의 ‘청산행’
– 복습 및 관련 기출문제 풀이

*다운로드 가능
하단 첨부파일을 확인하세요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