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복의 ‘봄비’ 분석 해설 정리 및 관련 기출문제

이수복의 시 '봄비'는 다가올 봄을 상상하며 사랑하는 이를 잃은 슬픔과 그리움을 표현한다. 봄비가 내리면 만물이 소생하듯, 화자는 임에 대한 애절한 감정을 드러낸다. 시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배경으로 희망과 슬픔을 교차시키며 감성적으로 묘사한다.

2025학년도 수능특강 작품 분석 목차 보러가기(클릭)

이수복의 봄비

01 이수복의 ‘봄비’
– 본문읽기

이 비 그치면
내 마음 강나루 긴 언덕에
서러운 풀빛이 짙어오것다.

푸르른 보리밭길
맑은 하늘에
종달새만 무에라고 지껄이것다.

이 비 그치면
시새워 벙글어질 고운 꽃밭 속
처녀애들 짝하여 새로이 서고

임 앞에 타오르는
향연(香煙)과 같이
땅에선 또 아지랑이 타오르것다.

이수복의 <봄비>

02 이수복의 ‘봄비’
– EBS의 시선 (해설)

이 작품은 곧 다가올 아름다운 봄날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사별한 임에 대한 애잔한 슬픔과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1연에서 화자는 풀빛이 서럽다고 말하는데, 4연에서 그 이유가 나타난다. 봄이 오면 따뜻한 날씨와 함께 아지랑이가 피어오를 터이지만, 그 아지랑이는 ‘임 앞에 타오르는’ 향불의 연기와도 같은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 1연: 서러운 풀빛이 짙어 올 강 언덕
• 2연: 종달새 지껄일 보리밭길
• 3연: 처녀애들 짝하여 설 고운 꽃밭
• 4연: 아지랑이 타오를 땅

  • 주제 : 봄비가 내리는 날에 느끼는 애상감
  • 계절감을 환기하는 소재(‘풀빛’, ‘푸르른 보리밭길’)가 화자의 정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봄비’를 보고 만물을 소생시키는 ‘봄비’가 내리면 ‘아지랑이’가 땅에서 피어오를 것이라고 생각하는 동시에 ‘아지랑이’처럼 타오를 ‘향연’을 떠올리며 임에 대한 그리움이라는 정서를 심화하고 있다.
  • 시각적, 청각적 이미지 등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화자가 처한 상황이나 시적 대상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 ‘종달새’는 화자와 대비되어 화자의 슬픔을 부각하는 자연물이며, 화자가 위치한 공간의 평화로운 정경을 부각하는 자연물로 볼 수도 있다.
  • ‘비’는 시상을 촉발하는 자연물로, 서러움이나 슬픔의 정서를 유발하는 등 애상적 분위기를 조성한다.
  • ‘강나루’는 실존하는 공간이라기보다는 자신의 마음을 나타내는 관념적 공간으로, 전통적으로 이별의 공간이라는 의미가 부여되어 있기에 임과의 사별을 경험한 화자의 심적 상태를 나타내기에 적절한 공간이다. 
  • 이 작품은 봄비 내린 뒤에 더욱 푸르게 짙어 갈 자연 풍경을 바라보면서 세상을 떠난 임에 대한 그리움을 드러내고 있다. 
  • ‘임 앞에 타오르는 / 향연과 같이’에서 ‘향연’은 부재로 인한 슬픔이 임의 죽음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게 해 주므로 부재의 상황이 영원히 지속될 것임을 보여 주는 소재로 볼 수 있겠군.

03 이수복의 ‘봄비’
– THE-깊은독해 (본문 분석)

이 비 그치면
내 마음 강나루 긴 언덕에 
서러운 풀빛이 짙어오것다. 

▶1연 : 서러운 풀빛이 짙어 올 강 언덕 

푸르른 보리밭길 
맑은 하늘에 / 종달새만 무에라고 지껄이것다. 

▶2연 : 종달새가 지껄일 푸르른 보리밭길

이 비 그치면 
시새워 벙글어질 고운 꽃밭 속 
처녀애들 짝하여 새로이 서고 

▶3연 : 처녀애들 짝하여 설 꽃밭

임 앞에 타오르는
향연(香煙)과 같이 
땅에선 또 아지랑이 타오르것다.

▶4연 : 아지랑이 타오를 땅

04 이수복의 ‘봄비’
– 복습 및 관련 기출문제 풀이

*다운로드 가능
하단 첨부파일을 확인하세요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