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장환의 ‘성탄제’ 분석 해설 정리 및 관련 기출문제

2025학년도 수능특강 작품 분석 목차 보러가기(클릭)

오장환의 <성탄제>

01 오장환의 ‘성탄제’
– 본문 읽기

골짜기와 비탈을 따라 내리며
넓은 언덕에
밤 이슥히 횃불은 꺼지지 않는다.

뭇짐승들의 등 뒤를 쫓아
며칠씩 산속에 잠자는 포수와 사냥개,
나어린 사슴은 보았다
오늘도 몰이꾼이 메고 오는
표범과 늑대.

어미의 상처를 입에 대고 핥으며
어린 사슴이 생각하는 것
그는
어두운 골짝에 밤에도 잠들 줄 모르며 솟는 샘과
깊은 골을 넘어 눈 속에 하얀 꽃 피는 약초.

아슬한 참으로 아슬한 곳에서 쇠북 소리 울린다.
죽은 이로 하여금
죽는 이를 묻게 하라.
길이 돌아가는 사슴의

두 뺨에는
맑은 이슬이 내리고
눈 위엔 아직도 따뜻한 핏방울……

오장환의 <성탄제>

02 오장환의 ‘성탄제’
– EBS의 시선 (해설)

이 작품은 산속에서 벌어지는 살육의 현장을 통해 일제의 위력에 희생당하는 당대 우리 민중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그리고 있다. 이 작품에서 ‘어두운 숲’과 ‘골짜기’는 생명을 위협하는 공간으로 그려져 있다. ‘몰이꾼’, ‘포수’, ‘사냥개’는 생명을 유린하는 폭력적 존재로, ‘사슴’은 연약한 생명체로 대비되고 있는데, 이러한 대비는 생명을 유린하는 세계의 폭력성을 부각한다. 한편 ‘쇠북 소리’는 사냥꾼이 사냥할 때 내는 종소리 또는 성탄을 알리는 종소리로 해석할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 ‘쇠북 소리’는 순결한 생명이 더 이상 희생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을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1연: 피를 흘리며 쫓기는 사슴
• 2연: 사슴을 쫓는 인간의 집요한 추적
• 3연: 사냥꾼에게 희생되는 동물들을 목격하는 어린 사슴
• 4연: 어미 사슴을 살리고 싶은 어린 사슴
• 5연: 아슬한 곳에서 들리는 쇠북 소리
• 6연: 죽어 가는 어미 사슴이 흘리는 눈물과 피

  • 주제 : 폭력적 세상에서 순결한 존재가 희생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 
  • ‘눈(흰색)’과 ‘핏방울(빨간색)’, ‘어두운 골짝’과 ‘하얀 꽃’ 등의 색채 이미지가 대비되는 소재를 통해 비극적 분위기를 형상화하고 있다.
  • ‘밤  이슥히 횃불은 꺼지지 않는다’에서 밤새 꺼지지 않는 ‘횃불’은 사슴을 노리는 포수의 추격이 밤새도록 지속될 정도로 집요함을 나타낸다.
  • ‘오늘도 몰이꾼이 메고 오는 / 표범과 늑대’에서 ‘표범과 늑대’는 포수가 사냥한 동물로, 포수가 힘센 짐승까지도 사냥할 수 있는 강력한 힘을 지닌 존재임을 드러낸다.
  • ‘잠들 줄 모르며 솟는 샘과 / 깊은 골을 넘어 눈 속에 하얀 꽃 피는 약초’에서 ‘샘’과 ‘약초’는 어린 사슴이 죽어 가는 어미 사슴을 어떻게든 살리기 위해 떠올리는 소재들로, 어미의 소생을 바라는 어린 사슴의 간절함을 드러내는 기능을 한다.
  • 이 작품은 외부의 폭력에 의해 파괴되는 자연물을 통해 인간 문제를 비판하고 있다. 순수하고 연약한 존재가 파괴되는 모습을 통해 일제 강점기에 조선 민중을 유린하는 일제의 폭력성을 드러내며, 나아가 생존마저 위협당하는 조선 민중이 생명의 길을 찾기 바라는 소망을 표현하고 있다.
  • ‘어두운 숲’과 ‘어두운 골짝’은 자연물이 희생당하는 살육의 공간을 나타낸 것이고, ‘포수’는 조선 민중을 억압하고 유린하는 일제를 상징하는 것이로군.
  • ‘죽은 이로 하여금 / 죽는 이를 묻게 하라’는 것은, 순수하고 연약한 존재의 생명이 종식되면서 죽음의 세계로 넘어가는 상황을 드러낸 것으로, 어미 사슴은 이미 죽음의 세계에 있으므로 어린 사슴만이라도 생명의 길을 찾아야 한다는 의미 즉, 생명의 길을 찾기 바라는 소망을 나타내는 것이로군.

03 오장환의 ‘성탄제’
– THE-깊은독해 (본문 분석)

* 제목 ‘성탄제’는 예수의 탄생일이다. 사랑과 화해의 상징인 성탄제를 통해 생명의 고귀함에 대한 성찰을 유도하고자 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사랑의 의미를 지닌 성탄제에 어린 생명체의 살상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역설적 의미를 지닌 제목이라고 할 수 있다.

산 밑까지 내려온 어두운 숲에

  → 시간적(밤), 공간적(숲) 배경이 제시되어 있다. 이때 ‘어두운 숲’은 이 글의 시적 공간으로, 부정적 현실 상황을 상징하며 뒤의 시적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살육과 폭력이 난무하는 공간이다.

몰이꾼의 날카로운 소리는 들려오고,

  → 어두운 숲에서 몰이꾼이 짐승을 사냥하는 소리가 들려오는 상황이다. 이때 ‘몰이꾼’은 생명을 위협하는 폭력적 존재이고, ‘날카로운 소리’는 생명을 살상하는 소리일 것이다.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였을 때 ‘몰이꾼’은 일제를 상징한다.

쫓기는 사슴이

  → 사슴을 사냥하는 상황이 제시되어 있다. ‘쫓기는’이라는 표현을 통해 긴박감이 나타난다. 이때 ‘쫓기는 사슴’은 연약한 존재를 의미한다.

눈 위에 흘린 따뜻한 핏방울.

  → 폭력으로 인해 희생당하는 생명체의 모습을 색채 대비, 냉온 감각의 대비(차가운 흰 눈 ↔ 따뜻한 붉은 핏방울)를 통해 부각하고 있다.(폭력성 부각, 비극적 상황 강조) 이때 ‘따뜻한 핏방울’은 생명성을 뜻한다. 사슴의 생명이 위협받는 상황임을 고려하면 ‘따뜻한 핏방울’이라는 표현은 역설적 의미를 지닌다고도 볼 수 있다.

▶1연: 핏방울을 흘리며 쫓기는 사슴

골짜기와 비탈을 따라 내리며
넓은 언덕에
밤 이슥히 횃불은 꺼지지 않는다.

  → 밤이 깊어질 때까지 몰이꾼의 몰이가 계속되는 상황이다. 이때 ‘횃불’은 폭력성을 상징한다. ‘횃불이 꺼지지 않는다’는 것에서 몰이꾼의 집요함과 끝없는 욕망을 느낄 수 있다. 

▶2연: 늦은 밤까지 계속되는 몰이

뭇짐승들의 등 뒤를 쫓아
며칠씩 산속에 잠자는 포수와 사냥개, 

  → ‘며칠씩 산속에 잠’잔다는 것에서 몰이군의 집요함을 느낄 수 있다. 여기서 ‘포수와 사냥개’는 생명을 위협하는 존재로, 몰이꾼을 의미한다.

나어린 사슴은 보았다 

  → ‘나어린 사슴’은 연약한 생명체를 상징한다.

오늘도 몰이꾼이 메고 오는 / 표범과 늑대. 

  → ‘표범과 늑대’는 몰이꾼에게 희생된 생명체이다. 강한 짐승들까지 희생된다는 점에서 몰이꾼의 폭력성을 부각한다. ‘보았다’의 목적어가 ‘표범과 늑대’이므로 윗줄과 도치법이 사용되었다. 어린 사슴과 몰이꾼의 대비를 통해 어린 사슴의 두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3연: 몰이에 희생된 동물들을 본 어린 사슴

어미의 상처를 입에 대고 핥으며 

→ 어린 사슴의 애처로움

어린 사슴이 생각하는 것
그는 

→ 그것은(어린 사슴이 생각하는 것은)

어두운 골짝에 밤에도 잠들 줄 모르며 솟는 샘과 

  → ‘어두운 골짝’은 어두운 숲을 말하는 것으로, 암담한 현실을 뜻한다.

깊은 골을 넘어 눈 속에 하얀 꽃 피는 약초.

  → 어린 사슴이 어미의 상처를 낫게 할 샘물과 약초를 생각하고 있는 상황이다. 어미를 살리고 싶은 어린 사슴의 소망이 나타난다. ‘샘’과 ‘약초’는 어미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수단이자 생명 지속을 위한 희망적 대상이다.

▶4연: 어미를 치유할 생각을 하는 어린 사슴

아슬한 참으로 아슬한 곳에서 쇠북 소리 울린다

  → 아슬아슬하게 높은 교회의 첨탑에서 종소리가 들려오는 상황이다. ‘쇠북 소리’는 교회 탑의 종소리를 뜻한다.

죽은 이로 하여금 / 죽는 이를 묻게 하라.

  → ‘쇠북 소리(종소리)’의 의미를 나타낸다. 종소리는 죽어가는 존재는 어쩔 수 없으며, 산 자는 산 자의 길을 가야 함을 뜻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즉, 어린 사슴은 어미 사슴의 죽음에 얽매이지 말고 생명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는 의미로, 성경 구절을 인용한 것이다. ‘죽은 이’는 이미 죽은 존재로, 이제까지 죽은 이를, ‘죽는 이’는 죽어가는 존재로, 희생되는 이를 뜻한다.

<참고> 일부 학자는 5연의 ‘쇠북 소리’를 살상이 계속되는 소리로 보고, 몰이로 인한 죽음이 계속되는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5연: 아슬한 곳에서 들려오는 종소리 

길이 돌아가는 사슴 

  → 죽음의 상황에 놓인, 즉 죽음의 세계로 가는 사슴을 뜻한다. 아마 어미 사슴일 것이다.

두 뺨에는 맑은 이슬이 내리고 

  → ‘맑은 이슬’은 어미 사슴이 흘리는 눈물을 비유한 표현이다.

눈 위엔 아직도 따뜻한 핏방울……

  → 폭력으로 인해 희생당하는 생명체의 모습이 드러난다. 1연의 4행을 반복 변주하였으며, 말줄임표를 통해 여운을 남기고 있다. ‘따뜻한 핏방울’은 폭력에 의해 희생당한 이가 지녔던 온기(생명성)을 뜻한다.

▶6연: 희생당하는 연약한 사슴의 눈물 

04 오장환의 ‘성탄제’
– 복습 및 관련 기출문제 풀이

*하단 다운로드 가능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