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섭의 ‘산’ 분석 해설 정리 및 관련 기출문제

김광섭의 '산'은 산에 인격을 부여하며 다양한 속성을 통해 인간적 덕성을 예찬한다. 작품에서 산은 생명체를 배려하고 인간에게 교훈을 주며, 인간과 조화롭게 공존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산의 모습을 통해 배우는 인내와 겸손, 봉우리와 계곡을 통한 산의 감정 표현은 인간에게 친근함을 더해준다.

2025학년도 수능특강 작품 분석 목차 보러가기(클릭)

김광섭의 산

01 김광섭의 ‘산’
– 본문읽기

이상하게도 내가 사는 데서는
새벽녘이면 산들이
학처럼 날개를 쭉 펴고 날아와서는
종일토록 먹도 않고 말도 않고 엎댔다가는
해 질 무렵이면 기러기처럼 날아서
틀만 남겨 놓고 먼 산속으로 간다

산은 날아도 새둥이나 꽃잎 하나 다치지 않고
짐승들의 굴속에서도
흙 한 줌 돌 한 개 들썽거리지 않는다
새나 벌레나 짐승들이 놀랄까 봐
지구처럼 부동의 자세로 떠 간다
그럴 때면 새나 짐승들은
기분 좋게 엎대서
사람처럼 날아가는 꿈을 꾼다

산이 날 것을 미리 알고 사람들이 달아나면
언제나 사람보다 앞서 가다가도
고달프면 쉬란 듯이 정답게 서서
사람이 오기를 기다려 같이 간다
산은 양지바른 쪽에 사람을 묻고
높은 꼭대기에 신을 뫼신다

산은 사람들과 친하고 싶어서
기슭을 끌고 마을에 들어오다가도
사람 사는 꼴이 어수선하면
달팽이처럼 대가리를 들고 슬슬 기어서
도로 험한 봉우리로 올라간다

산은 나무를 기르는 법으로
벼랑에 오르지 못하는 법으로
사람을 다스린다

산은 울적하면 솟아서 봉우리가 되고
물소리를 듣고 싶으면 내려와 깊은 계곡이 된다

산은 한 번 신경질을 되게 내야만
고산(高山)도 되고 명산(名山)도 된다

산은 언제나 기슭에 봄이 먼저 오지만
조금만 올라가면 여름이 머물고 있어서
한 기슭인데 두 계절을
사이좋게 지니고 산다

김광섭의 <산>

02 김광섭의 ‘산’
– EBS의 시선 (해설)

이 작품은 ‘산’에 인격을 부여하여 산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속성을 드러내고 있다. 작품에서 산은 배려심이 깊고, 포용력이 있으며, 너그럽고 신성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존재로 형상화되고 있는데, 이는 인간이 지녀야 할 바람직한 덕성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는 산을 경외의 대상으로서뿐만 아니라 인간적인 면모를 지닌 대상으로 표현함으로써 산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 1연: 늘 인간 세상과 함께하는 산의 모습
• 2연: 모든 생명을 배려하는 산의 모습
• 3연: 인간과 함께하려는 산의 모습
• 4연: 세속적 가치를 거부하는 산의 모습
• 5연: 인간들에게 가르침을 주는 산의 모습
• 6, 7연: 인간적 감정과 속성을 지닌 산의 모습
• 8연: 포용력을 지니고 있는 산의 모습

  • 주제 : 산을 통해 배우는 바람직한 삶의 모습
  • 1연은 독백의 방식으로 새벽부터 해가 질 때까지의 산의 모습을 표현하여 인간과 함께하는 산의 속성을 드러내고 있다.
  • ‘사람 사는 꼴이 어수선하면 ~ 도로 험한 봉우리로 올라간다’에서는 산이 인간 세상을 경험하고 다시 봉우리로 올라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는데, 이는 인간 세상의 부정적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 ‘산은 나무를 기르는 법으로 ~ 사람을 다스린다’에서 사람을 다스린다’는 것은 산이 인간에게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깨달음을 준다는 것으로, 화자가 산을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나무를 기르는 법’은 생명을 기르는 인내심을, ‘벼랑에 오르지 못하는 법’은 욕심과 오만을 버려야 한다는 겸손함을 깨닫게 해 준다고 볼 수 있다.)
  • ‘한 기슭인데 두 계절을 / 사이좋게 지니고 산다’에서 화자가 두 계절이 공존하는 산의 모습을 보며 산이 서로 다른 것을 끌어안을 수 있는 포용력을 지녔음을 예찬하고 있다.
  • 이 작품에서 산은 인간을 좋아하는 친근한 존재로 그려지기도 하고, 인간이 추구하는 덕성을 지니고 있어 경외감을 주는 존재로 그려지기도 한다. 
  • 산이 ‘들썽거리지 않’고 ‘부동의 자세로 떠’ 가는 것은 다른 존재를 배려하는 자연의 덕성을 나타낸 것이로군.
  • 산이 ‘양지바른 쪽에 사람을 묻고 / 높은 꼭대기에 신을 뫼’시고 산다는 것은 산이 인간의 죽음마저 받아 주는 너그럽고 신성한 존재임을 드러낸 것이로군.
  • 산이 ‘울적하면 솟아서 봉우리가 되고 / 물소리를 듣고 싶으면 내려와 깊은 계곡이 된다’는 것은 경외의 대상인 산이 인간적인 면모(감정과 욕망)도 지니고 있어 우리에게 친근감을 주기도 한다는 점을 나타낸 것이로군.

03 김광섭의 ‘산’
– THE-깊은독해 (본문 분석)

이상하게도 내가 사는 데서는
새벽녘이면 산들이
학처럼 날개를 쭉 펴고 날아와서는
종일토록 먹도 않고 말도 않고 엎댔다가는
해 질 무렵이면 기러기처럼 날아서
틀만 남겨 놓고 먼 산속으로 간다

▶1연 : 인간 세상을 감싸는 산 그림자

산은 날아도 새둥이나 꽃잎 하나 다치지 않고
짐승들의 굴속에서도
흙 한 줌 돌 한 개 들썽거리지 않는다
새나 벌레나 짐승들이 놀랄까 봐
지구처럼 부동의 자세로 떠 간다
그럴 때면 새나 짐승들은 / 기분 좋게 엎대서
사람처럼 날아가는 꿈을 꾼다

▶2연 : 다른 생명체를 배려하는 산

산이 날 것을 미리 알고 사람들이 달아나면
언제나 사람보다 앞서 가다가도
고달프면 쉬란 듯이 정답게 서서
사람이 오기를 기다려 같이 간다
산은 양지바른 쪽에 사람을 묻고
높은 꼭대기에 신을 뫼신다

▶3연 : 인간과 함께하는 산의 모습

산은 사람들과 친하고 싶어서
기슭을 끌고 마을에 들어오다가도 
사람 사는 꼴이 어수선하면
달팽이처럼 대가리를 들고 슬슬 기어서
도로 험한 봉우리로 올라간다

▶4연 : 혼탁한 세상을 거부하는 산의 모습

산은 나무를 기르는 법으로
벼랑에 오르지 못하는 법으로
사람을 다스린다

▶5연 : 인간에게 가르침을 주는 산의 모습

산은 울적하면 솟아서 봉우리가 되고
물소리를 듣고 싶으면 내려와 깊은 계곡이 된다
산은 한 번 신경질을 되게 내야만 
고산(高山)도 되고 명산(名山)도 된다

▶6-7연 : 인간적 감정을 지닌 산의 모습

산은 언제나 기슭에 봄이 먼저 오지만
조금만 올라가면 여름이 머물고 있어서
한 기슭인데 두 계절을
사이좋게 지니고 산다

▶8연 : 포용력을 지닌 산의 모습

04 김광섭의 ‘산’
– 복습 및 관련 기출문제 풀이

*다운로드 가능
하단의 첨부파일을 확인하세요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